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금융당국, 5대지주 만나 1조 상생금융 논의

채종원 기자
박인혜 기자
입력 : 
2023-11-19 16:54:30
수정 : 
2023-11-19 20:19:54

글자크기 설정

김주현·이복현, 은행회관 찾아
지주 회장단 등과 20일 간담회
서민대출 이자는 깎아주고
정책금융 공급은 확대해
'성난 민심' 달랠 카드 협의
사진설명
한 차례 연기된 금융당국과 금융지주 회장단의 간담회가 20일 열리는 가운데 향후 금융지주들이 발표할 상생 방안은 서민·취약계층을 위한 금융 지원 규모를 늘리고 대상자를 넓히는 방향이 될 전망이다. 올해에만 벌써 민관에서 각각 수차례 상생금융 대책을 발표해 새롭게 등장할 내용은 많지 않다는 게 금융당국과 금융권의 공통된 시각이다. 금융지주들은 내놓을 수 있는 방안이 뻔한 데다 지주 간 차별성도 뚜렷하지 않아 고민이 더 깊다. 결국 상생금융 의지를 '숫자'로 보여줘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5대 금융지주를 통틀어 총 1조원이 넘는 금융지원책을 발표하지 않겠느냐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금융지주), 3대 지방금융지주(BNK·DGB·JB금융지주) 회장 간담회가 20일 열린다.

이 자리에선 금융지주의 서민금융 역할 확대에 관한 얘기가 오갈 전망이다. 금융지주들은 은행을 통해 '금리 상승기 이자 장사로 손쉽게 수익을 창출했다'는 따가운 시선과 이익 환원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이 은행의 종 노릇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고, 더불어민주당은 '횡재세' 법안을 사실상 당론으로 추진 중이다. 금융지주들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는 모습을 보여줘야만 성난 여론을 다소 누그러뜨릴 수 있다.

금융당국과 금융지주 모두 최근 몇 주 동안 새로운 상생카드를 찾는 데 주력하고 있지만 확실한 한 방이 없다는 점은 고심의 깊이를 더하는 대목이다. 한 금융당국 인사는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면서 "기존에 있는 방안들 중 놓치고 있는 부분, 추가할 수 있는 부분을 찾는 동시에 부각되지 않았던 상생 방안들도 적극 알리는 것이 기본 방향"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선 금융상품 대출금리 인하, 성실상환 취약차주에 대한 이자 감면 확대 등 취약계층 지원 확대 안이 거론되고 있다. 은행권 사회공헌사업 자금을 활용해 저금리 소액 대출을 더욱 확대하는 아이디어도 오가고 있다. 아울러 수요가 높은 주요 정책금융상품의 공급 규모를 기존 발표안보다 더 늘릴 수도 있다.

금융권 영업현장에서 상생금융을 추진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등 은행 핵심성과지표(KPI)에 상생금융과 관련한 새로운 평가 요소를 추가 반영하는 것도 방법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금융당국이 상생금융 우수 금융지주에게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해 지주들 스스로 추가 상생안을 지속적으로 내놓을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얘기도 있다.

다만 이 같은 정책들은 '새롭다' '충분하다'는 인식을 심어주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결국 5대 금융그룹이 내놓을 상생금융 전체 규모가 핵심이 될 수밖에 없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현재 1000억원 규모로 은행별로 내놓는 건 정부·당국이 보기엔 적어 보일 수 있다"면서 "개인적인 생각으로 5대 금융그룹 합산 1조원 이상은 서민금융 재원이 돼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올해 3월 은행연합회가 '3년간 취약계층 10조원 지원'이라고 제시한 것처럼 개별 정책보단 전체 숫자(지원 규모액)가 얼마나 나오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하나은행이 1000억원, 신한은행이 1050억원 규모 상생금융 방안을 발표했지만 당국은 "부족하다"고 이미 신호를 줬다. 아직까지 KB금융과 우리금융, NH금융 등은 상생금융 지원 금액 부분에 대해 함구하고 있다.

우리금융은 우선 상생 행보를 강조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전사적 지시와 회의를 하고, 조병규 우리은행장은 지난 8일 남대문시장 상인들을 만나 은행 본점 주차장 주말 무료 개방을 약속했다.

[채종원 기자 / 박인혜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