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카카오 ID로 '정부 24' 이용…정부서비스도 민간에 개방

네이버, 카카오 ID로 '정부 24' 이용…정부서비스도 민간에 개방

네이버, 카카오톡 등 민간 서비스 아이디로 정부24 등 공공 웹 로그인이 가능해진다. 자주 사용하는 민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공서비스를 신청하거나 이용할 수 있다. 2027년까지 지능형 CCTV를 확충하는 등 재난안전 초기 상황관리를 강화한다.

27일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보고했다.

행안부는 디지털플랫폼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을 가속화한다.

국민이 선호하는 하나의 ID와 원하는 방식으로 모든 공공 웹과 앱에 로그인할 수 있다. 국민이 자주 이용하는 민간앱을 통해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개방을 확대한다. 카카오톡 등 민간 앱에서 휴양림 예약, SRT 예약 등 공공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진다. 상반기 6종을 시작으로 하반기 20종까지 확대한다. 현재 운전면허증만 발급하는 모바일 신분증은 국가유공자증(2023년)과 주민등록증(2024년)까지 추진한다. 모든 공공서비스를 한 곳에서 확인·이용하도록 정부24를 통합 포털로 전면 개편한다.

일하는 방식을 개선해 업무 효율성을 제고한다.

민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단순·반복 업무를 자동화한다. '행정업무 자동화 사례와 절차 안내서'를 마련해 배포하고 파이썬 활용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온북(2PC→1대 노트북)을 전부처로 확산(2027년까지 90% 전환)해 공무원 업무환경을 개선한다.

디지털플랫폼정부 성과를 통해 산업 진흥을 이끈다.

디지털정부 수출은 올해 6억달러, 중장기적으로 2027년까지 누적 80억달러 수출을 목표한다. 해외진출을 고려한 디지털서비스 개발, 유무상 원조사업 적극 활용 등으로 기업리스크를 줄이고 전문인력을 육성한다. 주요 업무시스템도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시장 수요가 큰 공공데이터를 묶어서 제공하는 '패키지 개방'과 '비정형데이터' 개방을 확대한다.

현장에서 작동하는 재난안전관리체계로 전환한다.

시·도 외에 시·군·구의 재난상황실을 365일, 24시간 운영해 위험상황 인지·보고 등 초기 상황관리를 강화한다. 2027년까지 지능형 CCTV를 확충하고 CCTV 영상정보 활용을 높인다. 인파사고 위험도를 분석하고 예·경보하는 현장인파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112 반복신고 감지시스템 도입 등으로 상시 위험상황을 관리한다.

이밖에도 행안부는 △주소정보 기반 신산업모델 개발·보급(드론배송, 자율주행로봇 배송, 실내 내비게이션 등) △개인별 데이터 분석으로 맞춤형 서비스 추천·선제적 제공 △20위 수준인 정부신뢰도(OECD)와 정부효율성(세계은행) 순위 10위권 달성(2027년까지) 등을 목표로 올해 업무를 추진할 계획이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