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령화에 고용시장 양극화 심화…연령대별 인구 증감 반영 필요
젊은 연령대 인구 줄면서 취업자 감소 심화
[123RF]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청년층과 고령층 간 고용 상황이 큰 대조를 보이면서 고용 통계상의 착시효과가 커지고 있다. 청년 취업자 감소의 상당 부분이 해당 연령대 인구 자체가 줄어들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15일 통계청의 고용동향에 따르면 4월 기준 15~29세 청년 취업자는 388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시점 대비 13만7000명 감소했다.

고용 통계는 전통적으로 취업자 수 증감을 중시한다. 1년 전과 현 시점의 취업자 수를 비교해 고용 상황이 개선됐다 혹은 악화했다고 평가하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은 지난해와 올해 인구가 비슷하다는 전제하에 성립하는 지표다. 인구가 늘거나 줄어드는 속도가 빠르다면 취업자 수 증감 지표를 곧이곧대로 보기 어려워진다.

4월 청년층 취업자 수를 해당 연령대 인구 증감까지 함께 보면 분석 내용이 상당 부분 달라진다.

4월 기준 15~29세 경제활동인구는 843만4000명으로 1년 전 대비 18만2000명이 줄었다. 여기에 지난해 4월 고용률 46.6%를 적용하면 인구 요인으로 청년층 취업자 약 8만5000명이 줄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즉 청년층 취업자 13만7000명이 줄어들었지만, 이중 8만5000명은 해당 연령대 인구 자체가 줄어 사라진 것이며 나머지 5만2000명이 경제 상황으로 감소한 일자리다.

지난 1월의 경우 인구 요인이 취업자 수 증가·감소를 바꿔 놓기도 했다.

1월 중 청년층 취업자는 5만1000명 줄었는데 이중 인구 요인에 따른 감소분이 8만6000명이었다. 실제로는 취업자가 3만5000명 늘었는데 통계상으로는 5만1000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령화 상황에서 인구가 급증하는 60세 이상에선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

4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는 44만2000명이 늘었지만, 이중 인구에 따른 자연 증가분이 23만1000명이다. 즉 고령 취업자가 늘어난 절반 이상의 이유가 단순히 해당 연령대의 인구가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의미이다.

이런 요인 때문에 정부는 연령별 취업 현황은 취업자 수 증감과 함께 고용률이나 실업률 통계를 함께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